Virtual Reproduction of Drawing,

Proliferation(Increase in value) of Space

: In case of LEE, Seung-hyun

 

KANG, Sumi (Aesthetics)

 

 

 

1. Multitude/Crowd/Collective

 

 

 

One of the preferred scenes in a movie is a shot taken from a high angle of a situation where ‘a formed group (multitude/crowd/collective)’ of particular species like people or insect occupies or encroaches a certain space. Usually in these scenes, a group of people moving around on inner-city streets, namely a crowd, is portrayed as a coal-black lump in order to show the dynamism of a big city. Or in order to maximize the sudden appearance of strange beings and the fear caused by it, a scene gets filled with a multitude of living things, such as ‘living but unknown-bizarre things’ which move quickly making nervous noises - not just imaginary living things but also familiar bugs or birds appearing in a completely strange scale or manner. As an example for the former part of the mentioned above, some may recall the classic <The Man with a Movie Camera>, a silent movie by Dziga Vertov. And for the latter part, the legendary SF movie <Invasion of the Body Snatchers> by Don Siegel or <The Birds> by Alfred Hitchcock could be used as examples. Of course, these kinds of scenes are very frequently used not only in movies but also in cartoons or animations embodied with even more imaginary images, the basic structures are mostly similar. This is the structure of sense and concept: for instance, countless beings appear collectively in a scene, and it aims at striking in a flash our familiar and ordinary spaces, places, relations and further all layers of our experiences. Suddenly flashing in my mind is the various kinds of groups in most of Miyazaki Hayao’s animations - a cloud of black dust, a swarm of red insect, a group of strange ghosts menacing town’s safety, crowds of strangers tearing down the city. However, even if we do not specify them, in our mind and memory, many of the images which cause fear and intimidate viewers are stored in similar shape, texture and movement manner.

These points stated above are helpful in many aspects in discussing the works, the artist LEE, Seung-hyun has done until now. It is because of the aspects in the following. First, the main motive in LEE, Seung-hyun's drawing and mural painting is explicitly a collective of figures which he invented based on his imaginations such as ‘a group of unidentified creatures’ and ‘a plague of strange viruses.’ Secondly, the goal he wanted achieve through his works and the actual state of sense and emotion his works trigger in the viewer are similar to those of movies, cartoons, and animations. So certain unexplainable sense or feeling, which a subject experiences when a group of strange things (the Other) appear in the products of mass culture, can be experienced as well in the artworks of LEE, Seung-hyun. Of course, there is some difference in the intensity. Unlike commercial movies, animations and cartoons, the image of LEE, Seung-hyun arouses a little bit of disgust or a sensation similar to surprise rather than terrible fear or scare. Also, his works are presented as a stalled drawing in an open space usually under bright light, and they can be enjoyed in a comfortable state of perception compared to movies or cartoons. Thirdly, considering that the motives in the works of LEE, Seung-hyun I introduced above are painted on actual specific places instead of traditional space used for drawings (drawings only) such as paper and canvas – a very portable tableau and simple and flat rectangle-shaped object, his works resemble ‘the relation between a crowd and space’ which gets constructed in movies or cartoons. He draws shapes of living creatures, which seems likely to be in cartoons, as if infiltrating on pre-existing actual spaces with its own function – walls in a work room at fine arts college, walls of gallery(white cube), walls and windows in cafe and inside walls of public institutions. These shapes exist temporarily there on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ut they are painted on all over the space even weakening the formal look and the placeness which the space used to have. This aspect is similar to the way and the intention of constructing a scene in movie or making a cut in cartoon/animation.

 

 

 

 

 

2. Decoration, The Proliferator

 

 

 

In enculturating things, that is, increasing more in their value than we have been provided with through natural mechanism, we enculturate ourselves. It is the process of increase-in-value which starts from and returns to us, and has an effect on both of the nature outside us and the nature inside us.”- Georg Simmel

 

 

The mural paintings of LEE, Seung-hyun are not drawings of the typically beautiful motif (as its object) like a beautiful woman or beautiful stilled objects. Different from the typical, the artist, by drawing artificial and discordant, and even disparate and grotesque imaginary creature in real space, wants to create the hypothetical condition that the image of living creatures self-proliferates as if it is alive. This is what the artist LEE, Seung-hyun has intended with the succession of the work he has been doing since 2006 until now, and the point where he wants the viewers to participate in with imagination. Therefore, on the white walls of exhibition space or over the whole walls of temporary buildings, it is overflowing with ‘the familiar yet strange beings’, which our imagination can comprehend like the shapes of dinosaurs likely from the Cretaceous period, lumps of organic matter which has not yet been differentiated and a monster as if the heads of squid and alligator synthesized. The image is unique, and the construction dynamic. These things stir up the curiosity in viewers, and satisfy the desire for sensuous pleasure.

Having said that, I believe the most special point lies in the ‘decorativeness’ of his drawing. For example, let us take a look at <Over the Stage> at 2011 Incheon Art Platform Exhibition. The artist portrayed in gray lines on white walls non-existent and strange creatures from its body to tentacles delicately and elaborately, and spread it out as if they are countless particles floating around in the space. The mural painting, arrayed with big lumps and small lumps randomly yet appropriately with blank spaces in between, transforms the exhibition site, which can be somewhat dull and even has the closedness and authoritativeness of white cube, into a vivid and dynamic place. Those vividness and dynamics are the function of LEE, Seung-hyun’s drawing as decorativeness. It is true in a sense that the dead space (in symbolic meaning), which obeys its purpose and does not have distinct character, is made to stand out by ‘adding’ vitality and change (on the perceptive level of the visitors who experience the space). Of course this is not everything.

Here, we can reconsider the meaning of ‘adding’ by expanding it in its elaborate context. So to speak, in the context of proliferation of space and image, usually, we use the word ‘decoration/ornament/adornment’ to mean the addition done to what is already there in order to make it more attractive or modify it differently. Also theoretically decoration has the meaning of a pattern or a form of style which ornaments a certain given object. In both of those contexts, the works of LEE, Seung-hyun are decorative. First of all, because the space he creates his drawings on, as mentioned above, is mostly established spaces (with given purpose and use), so the visitors, without any conscious effort, can accept that those images, which were not originally there, are additions and decorations for the space. At the same time, if we take a look at each part of his drawing they seem like atypical shapes of organisms, however we can realize that there is a kind of random pattern and repetition of fixed style since those images are spreaded out collectively at regular intervals over the wide surface of walls. In this context, the drawings of LEE, Seung-hyun are first decorative.

However if we think about the decorativeness in his works especially in the perspective of proliferation of space, we can find some interesting points. As I have talked about above, this artist puts his drawings directly on the surface of spaces which were built with a particular purpose and operate accordingly to its functions like studios in fine arts college or cafes. For example, in 2006 LEE, Seung-hyun filled the studios and lecture rooms in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with drawings of living creatures in bizarre shape. Called to mind that the studios are normally the official space which the school provides students for creative activities and courses, LEE, Seung-hyun’s work like this is the example of converting the utility of the space into his personal use from the start. However, we can find a meaning in his drawing of the space that he did such a work not merely for his personal interest or satisfaction but because he intended to transform the space through artistic deed. Surely this change was done by adding a new face to the existing space. But we have to take notice of the fact that through the involvement of the artist a new function and a character were added to the space of a shabby and barren studio. In other words, when his work was done (even though it was scheduled to be demolished soon), that place itself became a creation aesthetically functioning added to its function of a creative space, so it became to have the artistic character as well as the practical one. To sum up, in symbolic meaning, in aspect of sensuous perception and on layers of imaginary image, LEE, Seung-hyun’s drawing has proliferated the real space. This is like, as I discussed in the beginning, how movie or cartoon/animation expresses and actualizes the sensation between familiarity and strangeness, and existing being and unknown being by inserting an image of a crowd of people, insects or foreigners to real space, or by overlapping the virtual images and the real space.

 

 

 

 

 

3. Commonness of Imagination and Increase in Value

 

 

 

However, the artist LEE, Seung-hyun himself is not doing these works in the perspective of proliferation of space. Or he does not seem to consider these points as the noticeable and productive property of his work. This shows directly in the fact that he had done a series of tableau paintings using similar motif and expressive methodology. The series named <Masterpiece Virus>(2010) has images drawn on square-shaped drawing boards made with jangji paper (Korean traditional paper of high quality, it is thick and durable); images of the famous Western paintings - people can remember the original as soon as they see them such as <Mona Lisa>, <The Girl with a Pearl Earring>, <The Last Supper>, <Guernica> - ‘translated-disassembled’ into lumps of strange organisms. This series will be very well received by the general public who prefers what is unusual yet what is familiar to them at the same time. But considering in another way, those works of his stir up some suspicions that simply LEE, Seung-hyun is using both of the existing space in reality and the traditional space of fine arts as his drawing board without much distinction between them, and that he focuses on forming various images and stories in his imagination and externally expressing them rather than studying specifics of space or place.

So to speak, a certain artist metamorphoses repeatedly not just the visible and physical layer of the space but also the conscious and perceptive layer through site-specific artistic actions like creating drawings or installations in real space. For example, in 2008, Michael Asher at his solo exhibition in Santa Monica Museum of Modern Art awaked the consciousness of the history of art museum and at the same time raised the mechanisms of organizing exhibitions at art museum to the aspect viewers can perceive by reproducing temporary walls, which the museum had built for all the exhibitions during its history of 20 years, in lines using metal and wooden framework. This is a decomposition of the existing space as ‘Art of Art Institutional Critique’ as well as an proliferation of the space as ‘Site-specific Art.’ However in case of LEE, Seung-hyun, rather than this context, he has been occupied more with the story (which the artist has established) of which the living creatures in his drawings are ‘virtually’ proliferating. Deciding which aspect to pay more attention to or what subject to focus more is wholly the artist’s own, and his freedom. But the reason why I am raising this issue here is merely because, considering LEE, Seung-hyun has been doing the work in the method and the content similar to what I discussed above for the past 5 years, or speaking more critically he has been repeating this kind of work, he has been carrying on his works a bit naively and also a bit simply. To think a virtual living thing will have a grotesque shape and to imagine that this kind of creature will appear in our comfortable and familiar life encroaching our space and destroying our culture might be interesting as an individual imagination, but are generally quite cliched. Many movies and cartoons have already visualized imaginations of those stories, and we, most of us, have been growing up developing our thoughts and senses disciplined under the culture of these images. So the imaginations of most of the people are common. Therefore, on the one hand people crave for the works of art which go beyond the commonness, and on the other hand showing a contradiction they go wild over the works which are in a level to just satisfy the commonness of their imagination. I do not know which side the artist, LEE, Seung-hyun should stand on. However I want to point out that although the issue like ‘proliferation of space’ I discussed before is latent in the works he has been doing so far, it has not yet been properly dealt with; and the imagination he believes to be his own and the imaginary images realized through it are similar to that of most people. It is in this context that I quoted Simmel above; ‘The process of increase-in-value’ is to enculturate ourselves as we enculturate things. What is crucial here is how drawings of an artist can accomplish not only ‘proliferation of image’ but also ‘increase in value.’

 

 

 

 

 

* KANG, Sumi(1969-) received her doctorate of Philosophy at Dept. of Aesthetics from Hongik University. She is an aesthetician and art critic. She has written many treatises on aesthetics of Walter Benjamin and contemporary art and critique, and currently is conducting Government-supported, public and university researches. Her books include aisthēsis: Thinking with Walter Benjamin’s Aesthetics, Wonderful Reality of Korean Art, The Discovery of Life in Seoul.

 

 

 

 

 

드로잉의 가상적 생식력, 공간의 증식

- 이승현의 경우

 

 강수미 (미학)

 

 

1.

 

 

 영화가 선호하는 장면 중 하나는 사람이나 곤충 같은 특정 개체가(multitude/crowd/collective)’를 이뤄 어떤 공간을 점유하거나 잠식하는 상황을 부감(俯瞰)으로 비추는 것이다. 보통 이런 장면은 예컨대 대도시의 역동성을 표현하기 위해서 도심 거리를 몰려다니는 사람 떼, 즉 군중을 새까만 덩어리들로 묘사한다. 또는 낯선 존재들의 갑작스런 출현 및 그에 따르는 친숙한 것들끼리의 공포를 극대화하기 위해 생물 떼거리, 이를테면 기괴한 형체를 하고 신경질적인 소음을 내며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살아있으나 실체를 알 수 없는무리들상상의 생명체만이 아니라, 벌레나 새처럼 우리가 익히 알고 있지만 그 규모나 양태 면에서 전혀 낯설게 출현하는 것들을 화면 가득 채우는 식이다. 혹자는 전자의 실증적 사례로 영화의 고전에 속하는 찌가 베르토프(Dziga Vertov)의 무성영화 <카메라를 든 사나이>를 떠올릴 수 있다. 그리고 후자에는 SF 영화의 전설이라 불러도 좋을 돈 시겔(Don Siegel) <신체 강탈자의 침입>이나 알프레드 히치콕(Alfred Hitchcock) <>를 대입할지 모른다. 물론 영화만이 아니라 만화 또는 애니메이션에서도 이 같은 장면들은 매우 빈번히, 그러나 영화보다도 더 상상력 넘치는 이미지로 구현되는데, 기본적인 구조는 대체로 유사한 경향을 띤다. 이를테면 셀 수 없을 만큼 다수의 존재들을 집합적으로 출몰시켜 우리의 익숙하고 평범한 공간들, 장소들, 관계들, 나아가 경험의 모든 층위를 일순간에 강타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감각과 개념의 구조 말이다. 여기서 퍼뜩 떠오르는 사례는 미야자키 하야오의 거의 모든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각종 떼들검은 먼지 떼, 붉은 곤충 떼, 마을의 안전을 위협하는 낯선 유령 무리, 도시를 헤집고 다니는 이방인 무리이다. 하지만 굳이 특정하지 않아도 우리의 머릿속에는, 기억 속에는 그렇게 존재 자체로 두려움을 야기하고 보는 이를 심리적으로 위축시키는 이미지들이 상당히 많이, 대체로 비슷비슷한 형태 및 질감, 그리고 운동 양태로 저장돼 있다.

  위와 같은 점은 작가 이승현이 현재까지 해온 작업을 논하는 데 여러 측면에서 도움이 된다. 첫째, 명시적으로 이승현의 드로잉/벽화 작업의 핵심 모티브가 작가의 상상력에 기반을 두고 고안해낸 형상들의 집합, 예컨대미확인 생물체 무리정체불명의 바이러스 떼거리이기 때문이다. 둘째, 그의 작품들이 목표했거나 실제로 감상자에게 유발하는 감각 및 정서 상태가 앞서 예를 든 영화, 만화, 애니메이션의 그것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생경한 것들(他者)이 무리지어 출몰할 때 주체가 느끼는 설명할 수 없는 어떤 느낌이나 기분을 대중문화의 산물들에서처럼 이승현의 미술작품들에서 또한 경험할 수 있다는 말이다. 물론 강도(强度)의 차이는 있다. 상업영화나 애니메이션, 만화와는 달리 이승현의 이미지는 엄청난 공포나 위기감보다는 약간의 징그러움이나 놀라움에 가까운 느낌을 유발한다. 또 그 작품들이 대체로 밝은 빛 아래 개방된 공간에서 정지된 그림으로 제시되기 때문에 영화 및 만화와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편안한 지각상태에서 즐길 수 있다. 셋째, 앞서 소개한 이승현 작품의 모티브들은 종이나 캔버스 같이 전통적으로 그림의 지지대로 쓰이는 회화(만을 위한) 공간이동성이 강한 타블로이자 단일한 사각형 평면의 오브제이 아닌 대부분 현실의 특정 장소에 그려졌다는 점에서 위에서 말한 영화나 만화가 구축하는떼와 공간의 관계와 교차될 수 있다. 그는 만화에서 봤을 법한 생물체 형상을 현실적으로 각각의 기능을 가진 기성 공간미술대학의 실기실 벽, 화이트큐브 전시장 벽, 카페의 벽과 유리창, 공공기관의 내벽 등에 침투하듯이 그린다. 그 형상들은 일정한 기간에만 거기 존재하는 한시적인 것들이기는 하지만, 이전에 그 공간이 갖고 있던 형식적 외관과 장소성을 어느 정도 약화시킬 만큼 공간의 표면 위에 전면적이고 다발적으로 그려진다. 이 같은 점은 영화가 씬을 구성하는 방식 또는 만화/애니메이션이 컷을 만드는 방식 및 의도에 가깝다.

 

 

 

2. 장식, 증식하는 것

 

 

“우리는 사물을 문화화시킴으로써, 즉 그것의 가치를 자연적 메커니즘을 통해 우리에게 제공된 것 이상으로 증식시킴으로써 우리 자신을 문화화한다. 그것은 우리로부터 출발하여 우리에게 되돌아오는 가치증식의 과정이며 우리 외부와 내부의 자연 모두에 영향을 끼친다.”- 게오르그 짐멜

 

 이승현의 벽화 드로잉은 꽃이나 보석, 미인이나 각종 정물처럼 전형적으로 아름다운 (대상이라 칭해지는) 모티브를 그린 것이 아니다. 그와 달리 작가는 인위적이고 조화롭지 않은, 이질적이고 그로테스크하기까지 한 상상의 생명체를 현실 공간에 선묘(線描)하면서, 그 이미지-생명체가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자기 증식하는 가상적 상황을 연출하고 싶어 한다. 그것이 작가 이승현이 2006년부터 현재까지 일련의 작업을 하면서 의도했던 바이자 감상자들이 자신의 작품에 상상적으로 동참해주기를 바라는 지점이다. 따라서 백악기에 존재했을 법한 공룡 형상의 것들, 아직 분화가 되지 않은 유기물 덩어리들, 오징어와 악어 머리를 합성한 것 같은 괴물이라고 우리의 상상력이 파악할만한친숙한 낯선 존재들이 전시장의 흰 벽 위나 가건물 벽면 전체에 넘쳐난다. 이미지는 독특하고, 구성은 역동적이다. 이와 같은 점은 관객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감각적 즐거움을 향한 욕구를 충족시켜준다.

그렇다 하더라도 나는 그의 드로잉에서 가장 특수한 점은장식성에 있다고 본다. 예컨대 2011년 인천 아트 플랫폼 전시장에서 작업한 <Over the Stage>를 보자. 작가는 흰 벽 위에 회색의 필선으로, 존재하지도 않는 낯선 생물체의 몸체부터 촉수까지 섬세하고 정교하게 묘사했으며, 그것들을 하나가 아니라 마치 공간을 떠다니는 무수한 입자들처럼 펼쳐놓았다. 큰 덩어리와 작은 덩어리가 임의적이지만 적절하게 여백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그 벽화는 얼핏 무미건조하고 심지어 화이트큐브의 폐쇄성과 권위까지 풍기는 그 전시장을 생생하고 역동적으로 탈바꿈시킨다. 그런 생생함과 역동성이 장식적인 것으로서 이승현 드로잉의 기능이다. 용도에만 복종할 뿐 특별한 개성을 갖지 않는 죽은 공간(상징적인 의미에서)에 활기와 변화(그 공간을 찾는 이들이 경험하는 지각의 차원에서)부가(附加)’해 돋보이게 한다는 의미에서 그렇다. 물론 이것이 전부는 아니다.

 우리는 여기서 그부가의 의미를 정교한 문맥에 따라 확장시켜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를테면 공간의 증식과 형상의 증식이라는 맥락에서. 일상적으로 우리는장식(粧飾, decoration/ornament/adornment)’이라는 말을 원래 있던 것에 덧붙여지는 것, 그렇게 해서 기존의 것을 좀 더 나은 것으로 만들거나 좀 더 다르게 꾸민다는 의미로 쓴다. 또 이론적으로도 장식이란어떤 주어진 것을 꾸미는 패턴, 양식적 형식등의 의미를 갖고 있다. 이 양자의 의미에서 이승현의 작품은 장식적이다. 우선 그가 드로잉을 행하는 공간은 앞서 썼듯이 대부분 기성의 공간(목적과 용도가 이미 주어진 공간)이기 때문에, 감상자는 굳이 의식하지 않더라도 그 이미지들을 본래부터 있는 것이 아니라 한 장소에 덧붙여진 것이자 그 공간을 꾸미는 것으로 받아들인다. 동시에 이승현의 그림은 각 부분을 보면 유기체처럼 생긴 비정형의 형상들이지만, 그것들이 넓은 벽면에 일정한 여백을 두고 집합적으로 펼쳐지기 때문에 보는 이는 거기서 일종의 임의적 패턴, 일정한 양식의 반복을 알아챈다. 이 같은 맥락에서 일단 이승현의 드로잉 작품은 장식적이다.

그런데 특히 공간의 증식이라는 관점에서 이승현 드로잉의 장식성에 대해 생각해보면 흥미로운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앞서 소개했듯이 이 작가는 미술대학의 스튜디오라든가 카페 같이 이미 특정한 목적에 따라 만들어졌으며, 그런 목적에 맞게 기능하는 공간들의 표면에 직접 드로잉을 한다. 예를 들어 이승현은 2006년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대학원 실기실/강의실을 기이한 형상의 생물체 드로잉으로 가득 채웠다. 대학원 실기실이 통상 학생들의 창작 활동과 수강을 위해 학교가 재학생들에게 제공하는 공적 공간임을 상기할 때, 이승현의 그 같은 작업은 애초 그 공간의 효용성을 사적으로 전용한 예이다. 그러나 우리는 그가 단지 개인적 이익과 만족을 위해서 그렇게 한 것이 아니라, 예술적 행위를 통해 공간을 변화시키고자 그 공간에 드로잉 작업을 했다고 의미 부여할 수 있다. 물론 그 변화는 원래의 공간에 새로운 공간의 얼굴을 덧붙이는 식으로 이뤄졌다. 하지만 작가의 개입을 통해 그 허름하고 거친 실기실 공간에 새로운 기능과 성격이 부가됐다는 점도 주목하자. 즉 그 곳은 작품이 행해진 그 당시(곧 철거될 예정이었지만), 창작공간으로서의 기능에 더해 그 자체로 창작품으로서 미적으로 기능하게 됐으며, 실용적 성격에 더해 예술적 성격을 갖게 된 것이다. 요컨대 상징적 의미에서, 감각적 지각의 차원에서, 그리고 상상적 이미지의 층위에서 이승현의 드로잉은 현실 공간을 증식시켰다. 이는 서두에 말했던 영화나 만화/애니메이션이 현실적 공간에 사람들 무리, 곤충 떼, 낯선 이방인 집단의 이미지를 삽입하거나 양자를 오버랩하는 식으로 연출함으로써 익숙함과 낯섦, 기성의 존재와 미지의 존재 사이의 감각을 표현하고 실제화하고자 하는 것과 같다.

 

 

 

3. 상상의 평범성과 가치의 증식

 

 

 하지만 당사자인 이승현은 공간의 증식이라는 관점에서 그 같은 작업을 하고 있지는 않다. 혹은 그 같은 점이 자신의 작업에서 주목할 만하고 생산적인 특성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지는 않다. 그것은 단적으로 그가 거의 비슷한 모티브와 표현 방법론을 써서 타블로 회화 시리즈도 했다는 사실에서 포착된다. <Masterpiece Virus>(2010)라는 이름의 그 연작은 장지로 만든 사각형 화판에, 사람들이 보자마자 그 원작을 연상할만한 서구의 명화들모나리자, 진주귀걸이를 단 소녀, 최후의 만찬, 게르니카 등을 기이한 생물체 덩어리로번역-해체시킨 이미지를 그려 넣은 것이다. 신기한 것과 자신에게 익숙한 것을 동시에 선호하는 일반 대중들에게 이 연작은 호응을 얻을 것이다. 하지만 달리 보면 그 작품들은 이승현이 현실의 기성 공간과 회화 예술의 관습적 공간을 단지 그림의 지지대로 별 구분 없이 사용하고 있으며, 그가 공간 및 장소의 특정성에 대해 연구하기보다는 자신의 상상력 안에서 이러저러한 이미지와 이야기를 구상하고 그것을 외적으로 표현하는 데 주력하는 작가가 아닌가하는 의구심이 들게 한다.

이를테면 어떤 작가는 현실적 공간에 드로잉이든 설치든 장소 특정적 예술 행위로 개입함으로써 단순히 한 공간의 가시적이고 물리적인 층위만이 아니라 의식적이고 지각적인 층위를 거듭 변양시킨다. 예를 들어 마이클 애셔(Michael Asher) 2008년 산타모니카 현대미술관의 개인전에서 20년의 역사를 가진 그 미술관이 그간 전시를 만들며 세운 가벽을 금속과 나무 골조를 이용해 선()으로 재현함으로써 미술관의 역사를 의식화함과 동시에 미술관의 전시들이 조직되는 메커니즘을 감상자가 지각할 수 있는 양태로 끌어올렸다. 이는미술제도 비판의 미술로서 기존 공간의 해체일 뿐만 아니라장소 특정적 미술로서 그 공간의 증식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승현의 경우에는 이 같은 맥락보다는 자신의 그림 속 생명체들이가상적으로증식한다는 이야기(작가가 설정한)에 더 매달려온 것처럼 보인다. 어느 측면에 더 관심을 두고, 어느 주제에 더욱 집중하느냐 하는 문제는 온전히 작가의 몫이고 자유다. 다만 내가 여기서 이 같은 문제를 제기하는 이유는 이승현이 지난 5년 여간 위에서 다룬 바와 같은 형식과 내용의 작업을 지속해왔다는 점, 또는 좀 더 비판적으로 말해서 그 같은 작업을 반복해왔다는 점에서 볼 때 지금까지 이 작가가 자신의 작업을 조금은 순진하고 조금은 단순하게 진행시켰다는 것이다. 가상의 생명체가 그로테스크한 형상을 하고 있을 것이라는 생각, 그런 생명체가 우리의 안락하고 친숙한 삶에 출몰해서 공간을 잠식하고 문화를 파괴할 것이라는 상상은 그 개별 상상 자체로는 흥미진진할지 모르지만 대체로 꽤 진부하다. 많은 영화나 만화가 그런 내용의 상상을 이미지화했고, 우리는 거의 모두가 그런 이미지 문화의 훈육 속에서 자신의 사고와 감각을 키우며 성장했기 때문이다. 그렇게 대부분 사람들의 상상은 평범하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은 한편으로는 그 평범성을 뛰어넘는 작품들을 열망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자기 상상의 평범성을 충족시켜 주는 수준의 작품들에 열광하는 모순을 보인다. 나는 작가 이승현이 어느 쪽에 서야 하는지 알지 못한다. 하지만 그가 이제까지 해온 작업에는 앞서 논한공간의 증식같은 이슈가 잠재돼 있음에도 아직까지 제대로 다뤄지지 않았다는 사실, 그가 자신만의 것이라고 생각하는 상상력과 그것을 통해 구현되는 상상적 이미지가 대부분의 사람들 것과 비슷하다는 사실은 말해두고 싶다. “가치증식의 과정이 우리가 사물을 문화화하면서 우리 자신을 문화화하는 일이라는 짐멜의 말을 위에 인용해둔 것은 바로 이 같은 맥락에서인데, 관건은 한 작가의 미술이 어떻게이미지의 증식’만이 아니라가치의 증식을 이뤄내느냐이다.

 

 

 

 

강수미(Kang Sumi, 1969-)는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학과에서 철학박사학위(Ph.D.)를 받았다. 미학자이며 미술비평가다. 발터 벤야민의 미학 현대미술과 비평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썼고, 그와 관련한 국책 민간 학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아이스테시스-발터 벤야민과 사유하는 미학』, 『한국미술의 원더풀 리얼리티』, 『서울생활의 발견』등이 있다.

 

 

삭제하시겠습니까?
취소